명령어의 구조
- 연산 코드: 수행할 연산
- CPU마다 가지는 연산 코드의 종류, 개수가 다르다.
- 데이터 전송 ex) MOVE, STORE 등.. (데이터를 옮겨라. 메모리에 저장해라)
- 산술/논리 연산
- 제어 흐름 변경
- 입출력 제어
- CPU마다 가지는 연산 코드의 종류, 개수가 다르다.
- 오퍼랜드: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 또는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
-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‘주소 필드’라고 부른다. 오퍼랜드를 주소 필드라고도 부른다.
-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‘주소 필드’라고 부른다. 오퍼랜드를 주소 필드라고도 부른다.
명령어 주소 지정 방식
- 유효 주소 (Effective address)
-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
-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
- 명령어 주소 지정 방식 (Addressing modes)
-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찾는 방법
- 유효 주소를 찾는 방법
- 다양한 명령어 주소 지정 방식들
'컴퓨터 공학 기초 > 컴퓨터 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LU와 제어장치 (0) | 2025.03.15 |
---|---|
C언어의 컴파일 (0) | 2025.03.15 |
소스코드와 명령어 (0) | 2025.03.15 |
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 (0) | 2025.03.15 |
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(0) | 2025.03.15 |